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무릎에 물이 차는 증상과 이유
    건강한 이야기 2024. 11. 29. 12:39
    반응형

    무릎 통증이나 무릎에 물이 차는 증상의 경우 노화로 인해 생기는 것이 아닌가요.라고 생각할 수 있는데 노화만이 무릎에 물이 차는 이유가 아닙니다. 젊은 사람들도 과도한 운동이나 잘못된 자세로 인해 무릎에 물이 찰 수 있습니다. 처음 증상을 경험할 경우 당황할 수 있는 만큼 이유와 대처법을 확인해 둘 수 있었으면 합니다.

     


    운동을 무리하게 한 다음날 통증과 함께 무릎이 부풀고 눌렀을 때 물렁거리는 느낌이 든다면, 이는 무릎에 물이 찬 증상일 수 있습니다. 저도 갑자기 무리하게 등산을 했더니 무릎이 붓고 통증이 생겼었습니다.

     

     

    다행히 증상이 심하지 않아서 며칠 휴식을 하고 관리해서 나아졌지만 무시하고 계속 운동을 할 경우 악화되었을 것입니다. 그런데 무릎에 물이 찬다는 것은 어떤 의미인가요. 실제로 물이 차는 건가요.

    무릎에 물참 의미

    실제로 물이 찬 것이 아니라 액체, 정확히 관절 내에 있는 관절액이 지나치게 찬 것을 뜻합니다. 무릎 관절 내부에는 관절액이라는 윤활액이 존재하며, 이는 관절의 움직임을 돕는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염증이나 부상으로 인해 이 액체가 과도하게 분비되면, 무릎이 붓고 눌렀을 때 물렁한 느낌이 들게 됩니다.

    ▶물 = 관절액

     

     

    무릎에 물이 차는 이유

    관절염
    어르신들에게 많이 발생하는 퇴행성 관절염(연골이 닳아 없어지는)또는 자가면역질환인 류마티스 관절염으로 인해 무릎 관절에 물이 차게 됩니다. 퇴행성 관절염일 경우 움직일 때 통증이 발생하고, 관절을 움직일 때 소리가 나고, 움직임 제한이 발생합니다. 초기에는 참을 만 하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악화되기 때문에 조기에 치료받아야 합니다.

    류마티스 관절염은 면역 체계가 오히려 내 관절을 공격하고 염증을 일으키는 질환으로 나이 관계없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특징으로 주로 아침에 일어났을 때 관절이 굳습니다.

     


    외상
    젊은 사람들도 무릎에 큰 충격을 받거나 부상으로 인해 연골이 손상되면 물이 찰 수 있습니다. 운동하지 않던 사람이 무리하게 뛰거나 점프하는 동작을 반복할 경우 연골이나 관절이 손상되어 염증이 발생합니다. 그러면 무릎에 물이 차면서 붓고 통증이 느껴집니다.

    잘못된 자세 또한 무릎에 상당한 부담을 주며, 이로 인해 무릎 연골 손상, 염증, 통증, 무릎 물참 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한쪽 다리에 체중을 실어서 서있기(짝다리 짚기) , 무릎 꿇기, 양반다리 앉기, 잘못된 자세로 스쿼트하기 등으로 인해 무릎이 손상될 있습니다.

     

     

    무릎에 물이 차는 증상 해결법

    치료받기
    무릎에 물이 차는 이유가 관절염 때문이라면 적절한 치료를 받고 꾸준히 관리해야 합니다. 정확한 진단을 위해 X-ray, MRI, 초음파 검사를 받게 될 수 있으며, 이후 염증을 줄이기 위한 약이나 주사 치료를 할 수 있습니다. 물리치료로 찜질과 마사지를 받고, 체중 관리도 해주셔야 합니다.

    보존적인 치료로 효과를 보면 다행이지만 너무 늦게 치료를 시작하면 수술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때문에 무릎이 아프고 물이 찬 느낌이 든다면 서둘러 병원에서 검사받는 것이 좋습니다.

    휴식하기
    무리해서 가볍게 염증이 생긴 경우에는 적절한 관리와 휴식으로 빠르게 회복할 수 있습니다. 무릎에 부담을 주지 않고 휴식을 취해야 하며, 첫날에는 냉찜질을 하여 염증을 가라앉혀야 합니다. 어느 정도 가라앉으면 온찜질을 하고, 통증이 사라지면 가벼운 스트레칭과 무릎 강화 운동으로 관리합니다.

     

     

    무릎 건강 관리방법

    • 과체중은 무릎에 큰 부담을 주기 때문에 정상 체중을 유지합니다.
    • 적절한 운동으로 무릎과 근육을 강화합니다.
    • 늘 올바른 자세를 유지합니다.
    • 무릎에 부담을 주는 활동은 피합니다.
    • 통증이 있을 때는 무리하지 않고 휴식과 안정을 취합니다.
    • 무릎 건강에 도움 되는 음식을 섭취합니다. (생선, 시금치, 두부, 아몬드, 생강, 마늘, 양파, 우유, 요구르트, 치즈 등)
    • 무릎 건강에 도움되는 영양제를 섭취합니다.(글루코사민, 콘드로이틴, MSM, 오메가 3, 콜라겐, 비타민D, 마그네슘, 칼슘 등)

     

    젊었을 때 다친 무릎을 방치했다가 지금까지 고생하는 분들이 의외로 많습니다. 저 또한 과거에 등산하다 다친 무릎이 무리할 때마다 불편합니다. 젊다고 방심하지 마시고 계속해서 무릎 건강을 관리하고 신경 써주시기 바랍니다.

    반응형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