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입춘첩 문구 입춘대길 건양다경 뜻 쓰는법일상생활 이야기 2024. 12. 30. 12:00반응형
돌아오는 입춘에는 입춘첩을 직접 써서 붙여야지라는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입춘첩은 한 해의 복을 기원하기 위해서 흰 종이에 입춘문구를 작성해 문에 붙이는 것을 말하는데요. 주로 입춘대길 건양다경이라고 한자로 크게 써서 문에 붙입니다. 그런데 입춘대길 건양다경 뜻은 무엇이며 어떻게 써야 할까요. 입춘첩 관련 다양한 궁금증을 해소해 드리겠습니다.
입춘첩이란
입춘을 맞아 대문이나 기둥, 벽 등에 붙이는 글귀로 보통 흰색 종이에 한자 또는 한글로 입춘대길 건양다경(立春大吉 建陽多慶)이라고 씁니다. 해마다 입춘첩을 붙였던 분들이라면 올해도 잊지 않고 붙이실 것 같은데요. 처음 붙이는 분들은 왜 붙여야 하는지를 먼저 알아두면 좋을 것 같습니다.
왜 입춘이 되면 입춘첩을 붙이는 걸까요. 입춘은 봄의 시작을 알리는 절기로, 새로운 출발과 희망을 상징합니다. 이 시기에 입춘첩을 붙이면 한 해를 무사히 보내고 행복과 풍요가 가득해진다고 합니다.
입춘첩 문구를 보면 좀 더 이해가 잘 되실 것 같은데요. 입춘첩에 쓰는 글귀를 보면 주로 복, 건강, 행복 등 긍정적인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가장 많이 사용하는 입춘대길 건양다경 뜻 또한 마찬가지로 긍정적인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입춘대길 건양다경 뜻 한자풀이
입춘대길(立春大吉)
- 立(입): 서다, 시작하다.
- 春(춘): 봄
- 大(대): 크다, 풍요롭다.
- 吉(길): 길하다, 복이 있다.
풀이 : 봄의 시작과 함께 큰 복이 깃들기를 염원합니다.
건양다경(建陽多慶)- 建(건): 세우다, 일으키다.
- 陽(양): 밝고 따뜻한 기운
- 多(다): 많다.
- 慶(경): 경사, 축복.
풀이 : 밝고 따뜻한 기운이 가득하고 경사가 많기를 바랍니다.
한 해의 복과 행복, 희망과 풍요를 염원하는 마음을 담고 있어서 입춘첩 문구로 입춘대길 건양다경을 가장 많이 사용합니다.다양한 입춘첩 문구
입춘대길 외에 다른 문구를 사용하여 쓸 수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아래와 같은 문구들을 사용합니다.
- 부모천년수 자손만대영 (父母千年壽 子孫萬代榮) : 부모님의 장수를 기원하고 자식의 번영을 바라는 문구
- 만복함지 건양다경 (萬福咸至 建陽多慶) : 복이 모여들고 경사가 많기를 바라는 문구
- 만사여의형통 (萬事如意亨通) : 모든 일이 순조롭고 원활하게 진행되기를 바라는 문구
- 수여산 부여해 (壽如山 富如海) : 산처럼 하지 않고 오래 건강하고, 바다처럼 넓고 깊은 부와 재물이 가득하기를 바라는 문구
- 소지황금출 개문백복래 (掃地黃金出 開門百福來) : 꾸준히 노력하면 결실을 맺게 될 것이며, 열린 마음으로 기회를 받아들이면 복이 가득하게 된다는 문구
- 거천재 래백복 (去千災 來百福) : 천 가지 재앙이 사라지고 백가지 복이 가득히 오기를 기원하는 문구
- 재종춘설소 복축하운흥 (災從春雪消 福逐夏雲興) : 재앙과 불운은 봄눈처럼 사라지고, 복은 여름 구름처럼 일어난다는 뜻의 문구
입춘대길 건양다경 한자 외에 다양한 문구가 있어서, 원하는 뜻을 가진 문구를 선택해 직접 입춘첩을 만들어도 좋을 것 같습니다.
입춘첩 쓰는법 붙이는법
입춘첩을 쓰는 종이는 글자 크기나 글자수에 따라 달라집니다. 과거에는 가로 15cm, 세로 70cm의 한지를 두 장 준비해서 붙이는 것이 일반적이었지만 지금은 이보다 작게 붙입니다. 가로 10cm, 세로 30cm 정도면 현관문에 붙이기 부담스럽지 않은 크기 같습니다.
1. 흰색 종이 2장을 준비합니다. 한자를 틀릴 수도 있어서 여러 장 준비하면 좋습니다.
2. 입춘대길, 건양다경을 한자 또는 한글로 정성껏 씁니다. 마음을 담아서 정성스럽게 쓰는 것이 중요합니다.
3. 2장짜리는 八 여덟 팔 모양으로 붙이고 1장짜리는 현관문 중앙 위쪽에 붙입니다. 딱풀로도 잘 붙습니다.
4. 입춘첩을 붙일 때는 입춘시간에 맞춰 붙이는 것이 좋으며, 작년에 붙인 것은 떼어냅니다.
직접 입춘첩 쓰는 것이 어렵게 느껴지거나 악필이라서 보기 좋지 않다면 입춘첩을 구매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절에 다니는 분들이라면 절에서 입춘첩과 함께 미리 새해 부적을 받아오셨을 것 같습니다.
입춘대길 건양다경(立春大吉 建陽多慶) 뜻처럼 여러분의 새해에도 행운과 복이 가득하길 기원합니다.반응형'일상생활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100달러 한국돈 원화 환전하면 얼마 (0) 2025.01.08 핫팩 지속시간 지난후 버리는법 (0) 2025.01.01 2025년 이사하기 좋은 날 윤달과 손없는날 (0) 2024.12.27 26년 무슨해 무슨띠인지 색깔까지 알자 (0) 2024.12.25 붕어빵 보관 냉동 냉장 어디가 좋을까 (0) 2024.12.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