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핫팩 지속시간 지난후 버리는법일상생활 이야기 2025. 1. 1. 11:34반응형
겨울이 오면 핫팩을 대량으로 사서 사용하는데 핫팩 지속시간이 제품마다 다르며, 사용법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고 합니다. 지속시간이 짧다고 느껴질 경우 사용법이 잘못된 것일 수 있습니다. 오늘은 핫팩의 지속시간과 사용법, 재활용되지 않는 핫팩 버리는법을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가루 핫팩 성분 물질
핫팩은 종류가 다양한데요. 똑딱이 핫팩도 있고 가루 핫팩, 충전식 핫팩도 있습니다. 저는 저렴하면서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가루 핫팩을 주로 사용하는데 흔들기만 해도 금세 따뜻해져서 요즘 외출 필수템이 되었습니다.
그런데 가루 핫팩은 어떤 원리로 열이 발생하는 걸까요. 가루 핫팩 안에는 다양한 물질이 들어 있는데요. 제품 원재료 표시를 확인해 보면 철가루, 물, 활성탄, 질석, 흡수성 수지, 식염 등이 적혀 있습니다. 철가루는 핫팩에 꼭 들어가야 하는 물질로 공기 중 산소와 만나 열을 발생시고, 활성탄은 철가루가 산소와 더 잘 반응하게 해주며, 소금은 촉매 역할을 한다고 합니다.
따뜻해지는 핫팩 원리
비닐 포장을 뜯으면 철 가루가 공기 중의 산소와 반응하여 열을 발생시킵니다. 이 과정에서 활성탄, 소금이 촉매 역할을 하고, 발생한 열은 톱밥과 질석에 의해 오래 보온이 됩니다.
핫팩 지속시간 몇시간
12시간 지속되는 것도 있고 15시간 이상 지속되는 것도 있는데요. 일반적으로 10 ~ 12시간은 지속되는데 제품마다 조금씩 차이가 날 수 있습니다 지속시간이 길다고 적혀 있어도 시간이 지날수록 온도가 낮아져서 처음의 따뜻함을 느끼기는 어렵습니다.
- 종류에 따라 달라집니다.
- 크기에 따라 달라집니다.
- 주변 온도에 따라 달라집니다.
- 핫팩 재료 함량에 따라 달라집니다.
매일 사용하다 보면 핫팩 구입도 부담이 되는데요. 추운 날에는 양손에 모두 쥐고 있어야 하기 때문에 금방 다 쓰게 됩니다. 그래서 최대한 핫팩 지속시간을 늘리면서 사용하고 있습니다.지속시간 늘리는 방법
1. 온기가 오래 유지되게 보온이 잘 되는 주머니에 넣어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주머니 밖으로 자주 꺼내서 만지면 금방 수명을 다하게 됩니다.
2. 사용하지 않을 때는 지퍼팩에 담아서 공기와의 접촉을 방지해 주세요. 산화 반응이 느려져서 열을 좀 더 오래 유지할 수 있습니다.
3. 따뜻함이 덜 하다는 느낌이 들면 주머니에서 꺼내 가볍게 흔든 후 다시 주머니에 넣어야 합니다. 장시간 과도하게 흔들면 오히려 보온이 유지되지 않습니다.
올바른 방법으로 사용할 경우 12시간 까지 따뜻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이후로는 점점 온도가 낮아집니다.핫팩 온도 몇도
제품에 따라 온도가 달라지는데 일반적으로 평균 온도는 60도, 최고 온도 70도 이하입니다. 생각보다 온도가 높게 오르기 때문에 피부에 직접 접촉해서 사용하거나 같은 부위에 장시간 사용하지 않아야 합니다.
핫팩 주의사항
- 직접적인 접촉을 피합니다. 옷 안쪽에 넣거나 수건으로 감싸 사용합니다.
- 장시간 같은 부위에 사용하지 않고, 중간에 자리를 옮깁니다.
- 잠자리에 들 때는 사용하지 않습니다. (저온 화상 위험)
- 난로나 히터, 전기장판 등과 함께 사용하지 않습니다.
- 당뇨병성 신경병증이 있을 경우 화상 위험이 있어서 주의해야 합니다.
핫팩 온도가 생각보다 높게 올라가는 데다 붙이는 파스의 경우 한 부위에만 붙이고 있어서 저온 화상 입는 분들이 있다고 합니다. 핫팩을 사용할 때는 주의사항을 잘 지켜서 건강을 상하지 않으셨으면 합니다.
핫팩 버리는법
재활용되지 않기 때문에 핫팩 분리수거가 아닌 일반 쓰레기로 버려야 합니다. 완전히 굳어서 더 이상 사용할 수 없게 되었을 때 종량제 쓰레기봉투에 담아 버립니다. 핫팩이 따뜻하고 사용하기도 편하지만 환경오염 문제를 일으킬 수 있어요. 그래서 하나를 최대한 지속시간을 늘려 사용하는 방법에 관심을 두거나, 충전식 핫팩, 친환경 소재 핫팩을 사용하는 분들도 있습니다.
올 겨울에는 올바른 핫팩 사용을 통해 지속시간을 늘리고, 충전식 핫팩이나 친환경 소재 핫팩을 사용하는 습관을 만들어서 환경도 배려할 수 있었으면 합니다.반응형'일상생활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25년 무슨년 무슨해? 일까 (0) 2025.01.10 100달러 한국돈 원화 환전하면 얼마 (0) 2025.01.08 입춘첩 문구 입춘대길 건양다경 뜻 쓰는법 (0) 2024.12.30 2025년 이사하기 좋은 날 윤달과 손없는날 (0) 2024.12.27 26년 무슨해 무슨띠인지 색깔까지 알자 (0) 2024.12.25